가스마이너(GASminer) 소개

주유소의 수익이 보장되는 스테이지 III 유증기 액화 회수 장치 설치 방법

스테이지 I과 스테이지 II는 국가의 정책에 따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스테이지 I에서 회수된 유증기는 휘발유 공급회사가 가져가고 스테이지 II 회수설비는 너무나 큰 비용을 발생시킨다. 결국 이들 두 가지 회수 설비는 주유소 입장에서 경제적으로는 만족스러울 수가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스테이지 I에서 회수된 유증기가 주유소의 이익이 되도록 하여야 하고 스테이지 II의 효율을 높여 주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스테이지 III라고 하는 액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래서 지난 십 수년 동안 여러 회사들이 스테이지 III 장치를 시장에 소개하였지만 아직도 널리 확산되지 않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비용이 과다하다는 것이다. 과다한 비용은 주유소에게 추가적인 경제적 손해를 유발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보기

유증기액화장치 방폭대응 관련 요점 정리

주유소와 유증기액화장치에 관련된 안전인증 대상을 보자면 위의 마., 사. 항 정도 되겠다.

다시 말해 압력용기나 방폭전기기계는 안전인증을 득한 것을 사용하면 되겠다.

참고로 유증기액화장치 같은 설비는 대상에 명기되어 있지 않다.

이 부분을 강조하고자 하는 이유는 방폭인증을 받았느냐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이다.

결국 사용하는 부품들이 안전인증 대상이라면 그 점을 만족하는 부푸믈 사용하면 될 일이다.


더보기

스테이지3 유증기 회수설비 가스마이너로 유증기 배출 전혀없는 Net-Zero 클린주유소

유증기의 위해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기 때문에 유증기의 배출을 막기위한 노력도 다방면으로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 Zero에 도달하지 못한 것 뿐이다. 배출ZERO에 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어야만 “NetZERO클린주유소” 라는 개념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설치한 스테이지1과 스테이지2 회수설비가 있는데 왜 Net Zero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인가? 이유는 간단하다.


더보기

가스마이너 유증기 액화회수 동영상

유증기는 주유소 지하 탱크와 연결된 통기관을 통해 대기로 배출됩니다. 가스마이너를 통기관과 연결하고 유증기가 대기로 방출되기 전에 액체 가솔린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더보기

한국시장에서 판매 가능한 유증기액화재생장치의 가격과 현실적인 시장규모

앞선 포스팅에서 한국 현실에는 액화회수율을 연평균 기준으로 0.07%가 적합함을 증명했다.

최대치는 0.164%로 볼 수 있으나 이는 한 여름 한정된 기간에만 해당되며 긴 겨울이 사업성에 불리한 조건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유증기액화재생장치 의 적정한 가격대를 산출하기 위하여는 먼저 주유소의 규모에 따른 수익성을 계산해 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기발한 방법으로 휘발유를 채굴하는 도시유전

유증기액화회수장치는 유증기를 모아서 휘발유로 되돌리는 설비입니다.

주유소마다 몇 개씩 설치되어 있는 통기관에 연결합니다. 그리고 휘발유를 채굴합니다.

이것은 마치 휘발유 탱크에 파이프 꽂고 휘발유를 채굴하는 것처럼 보일 지경입니다.

세상에 주유소는 100만개 가까이나 되고 휘발유 탱크는 더 많을 뿐만 아니라 도시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더보기

도시유전 빨대 꼽고 휘발유 채굴 혁신적인 자원재생

세탁소에서 배출되는 유증기의 가치

년간 570억원

세탁시설 유증기 발생량 2019년 20,460톤

20,460,000kg / 0.78(비중) = 26,230,769리터

26,230,769리터 x 2,176원=570억원

2,176원(업소용 솔벤트 가격)


더보기


Tel. +82-10-2246-5729 | gasminer.ceo@gmail.com
대표: 임용훈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백운로 450

이 사이트에 표시된 자료의 일체는 (주)이엠글로벌의 저작권과 특허로 보호됩니다.